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Claude 리밋 문제로 로컬 LLM 을 사용해볼까.. 잘 사용중이여서 좀 피크 업무가 있을때나 심심풀이 코딩할때 한번씩 max 버전을 사용하는데, 그래도 좀 저렴하게 사용해 볼까~해서 Ollama + Qwen3-Coder & MCP & Claude Desktop & IntelliJ 요런 형태의 에이전트 방식으로 사용해보기로 했다. 그래서 세팅을 마무리 하고 오래전 프로젝트에 함 돌려보기를 해봤는데.. 클로드가 Qwen3-Coder 에게 잘 명령(?) 하면서 결과를 이끌어 내기는 하는데 너무 느리다.. 느림과 동시에 노트북이 프라이팬이 되간다.. 아... 이러면 나가리인데.. 그냥 MAX 를 사용하는 것으로 했다. 로컬 LLM 은 참 뭔가 사용하기에는 좀 그러네..특히 Notebook LM 이 나오면서는 더욱..ㅎㅎ 더보기
클로드 데스크탑에서 크롬 컨트롤 개발로만 클로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어느순간 지속되는 지라, 위키등에 글쓰고 보고 정리하는게 귀찮아지기 시작했다. 해서 클로드데탑과 MCP 가 분명 크롬과도 연결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확장프로그램을 검색해보니. https://chromewebstore.google.com/detail/browser-mcp-automate-your/bjfgambnhccakkhmkepdoekmckoijdlc?pli=1 Browser MCP - Automate your browser using VS Code, Cursor, Claude, and more - Chrome 웹 스토어The MCP to control your browser. Browser MCP is a Model Context Protocol (MCP) serve.. 더보기
AI 와 함께 글쓰기를 하다보면 늘 이렇게 나와서 지침을 강하게 만들어놔야 한다. 영어식 (SVO 구조)- 주어 → 동사 → 목적어 순서가 고정- 결론을 먼저 말하고 부연설명- "그는 문을 열었다. 그의 얼굴에는 놀라움이 가득했다."한국어식 (SOV 구조)- 수식어구가 피수식어 앞에 옴- 상황/감정을 먼저 깔고 행동이 뒤따름- "놀라움이 가득한 얼굴로 그가 문을 열었다." 더보기
통신 상품정보나 일반 상품정보를 분석하다가.. 임베딩 모델의 중요도가 갈 수록 높아지는게 느껴지고 있다. 뭐 우선은 허깅페이스의 모델을 이용해 임베딩하고 답변 모델로는 제미나이를 사용중이기는 한데.. 정확도를 유지하려면 나름 많은 트릭을 추가해야 하는 상황이다. 음.. 어서 구글에서 버텍스 모델 같은거 말고 정식 gemini api 로 다국어 지원 모델을 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물론 text-embedding-large-exp 가 있기는 한데.. 겁내 빨리 소진되어서..ㅜㅜ) https://huggingface.co/blog/getting-started-with-embeddings Getting Started With EmbeddingsI adjusted my query function with the help of claude.ai like .. 더보기
이벤트 저장 및 뷰 처리 방식 (Event Sourcing + CQRS) AI와 함께 정리하기. 개념 설명이벤트 소싱 (Event Sourcing): 시스템의 **'현재 상태(Current State)'**를 저장하는 대신, 그 상태에 도달하기까지 발생한 모든 '이벤트(Event)'의 순차 목록을 저장하는 방식입니다.예시: 은행 계좌의 '현재 잔액'(9,000원)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입금(+10,000원), 출금(-1,000원) 이라는 이벤트들을 순서대로 모두 저장합니다. 잔액은 이 이벤트들을 처음부터 재생(replay)하면 언제든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CQRS: 시스템의 명령(Command, 데이터 변경) 책임과 조회(Query, 데이터 읽기) 책임을 완전히 분리하는 패턴입니다.Command: 데이터의 상태를 변경하는 모든 작업 (예: CreateOrderCommand..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