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후비고!

AI 와 함께 글쓰기를 하다보면 늘 이렇게 나와서 지침을 강하게 만들어놔야 한다. 영어식 (SVO 구조)- 주어 → 동사 → 목적어 순서가 고정- 결론을 먼저 말하고 부연설명- "그는 문을 열었다. 그의 얼굴에는 놀라움이 가득했다."한국어식 (SOV 구조)- 수식어구가 피수식어 앞에 옴- 상황/감정을 먼저 깔고 행동이 뒤따름- "놀라움이 가득한 얼굴로 그가 문을 열었다." 더보기
이런 저런 데이터를 얻고자 통신 가입을 해보기로.. 여차저차 해서 너겟의 요금제 보다는 U+ 다이렉트 요금제를 기준으로 다시 추천을 해보기로 했다. 당연히 2차 시도이니 이번에는 약정과 기타 부가서비스를 약간 넣어볼까 했었다. 우선 LGU+의 다이렉트 요금제를 돌아보고 어떻게 임베딩 처리를 해야 할지, 어디서 GPT를 써야 좀 더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을지..알아봐야 하니 분석차 사이트에 들어가 봤다. https://www.lguplus.com/direct/plan/mobile/5g 근데, 사이트의 가입 프로세스를 한번 진행해 보면서.. 답답한 맘에 급 의문이 들었다. '다이렉트 요금제'... 우선 다이렉트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우 AI~!"다이렉트 요금제"는 주로 한국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보험이나 통신 서비스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 용어의 의미.. 더보기
AI 라는 타이틀을 얹혀서(이렇게 해야...콜록) 챗봇과 요금제 추천을 진행 파일럿(토이플젝)으로 AI 챗봇과 요금제 추천을 진행해보고 있다. 여튼 기존에는 spring-ai, langchain4j 에 모델은 openai 또는 그냥 spring-ai + openai 로 진행하면서 RAG를 만들어 가고 있었는데, 역시 보안(회사 자체의...)을 생각하니 엑사온쪽이 좀 더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딥시크처럼 언어 문제도 없을테고!!!! - 한글로 답변을 요구했더니 한자가 섞여서 나와..oTL) 여튼 그런 결정과는 별개로 심심풀이 질/답이나 돌려볼까 해서 로컬에 32b 버전을 설치해서 돌려보니 생각보다 준수한 속도와 답변이 나왔다. 이정도면 파일럿이나 토이플젝에서 차고 넘치니까 그냥 이거로 초이스다! 늘 그렇듯 첫 질문은 내가 좋아하는 작가에 대해 짧은 답변을 요구해보았다. 딥시크(.. 더보기
이젠 간단한 유틸 같은 기능은 그냥 GPT를 사용해도 되지 싶다. (물론 트래픽과 사용량을 보고 판단해야지만 서도...ㅎㅎ 비쌈.비쌈 정말 비쌈...)  금지어 관리 기능과 적용, 안내에 대해 구현을 고민하는 친구가 있길래..  나 : "그런건 그냥 ChatGPT API나 우리 회사 AI API 써~ 반환 결과에 금지어, 문장의 의미, 부정/긍정평가등등 다 뽑아낼 수 있으니.. 단순 단어 체크 고민하는 시간에 AI 결과를 어떻게 보여 줄 것인가..를 고민하는게 더 좋지 않겠어?"라고, 자연스럽게 얘기하는 나를 보니.. 뭔가 스마트한 사람 같다. 는.. 개뿔. ㅎㅎㅎㅎ 나도 궁금해서 직접 GPT에게 물어보니 결과를 저리 좋게 내보내 준다. Spring AI 연동된 상태면 Response 멋지게 뽑아줄테니.. 로직과 코드 고민할 필요가 뭐가 있겠는가? 이미지는 네이버 아무.. 더보기
WIN 10 Docker CPU/Memory Limit 걸기 1. WSL 2 Based Engine 체크 확인 및 윈도우10 빌드 버전 Build 19041 확인 2. docker desktop 중지(QUIT) 3. Windows 키 -> Windows PowerShell 4. > wsl --shutdown 5. > notepad "$env:USERPROFILE/.wslconfig" 6. 설정 7. docker desktop 실행 및 각 컨테이너 실행 예제 : localstack, mysql, redis 실행시 memory=2GB의 경우 Vmmem은 2.042MB정도 memory=4GB의 경우 Vmmem은 2.766MB정도 memory=8GB의 경우 Vmmem은 2.866MB정도 잘 조정해서 사용하자. 더보기